‘불교미술의 진수’ 고려 사경과 조선 불화의 귀환 > 해드라인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7.08 (화)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드라인

‘불교미술의 진수’ 고려 사경과 조선 불화의 귀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7-08 16:05

본문


불교미술의 진수.png

-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보물로 지정된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권15>와 동질의 사경

- <시왕도>, 현전하는 조선 전기 시왕도 완질본 2질 중 하나로 국내 첫 사례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국외재단’)과 함께 7월 8일 오전 11시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일본에서 환수한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와 <시왕도>를 언론에 최초로 공개한다.

  *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고려(1334년) 제작 / 감지에 금니 필사 / 세로 36.2cm × 가로 1,088.5cm

  * <시왕도>: 조선 전기 제작 / 비단에 채색 / 전체 각 세로 147cm × 가로 66cm, 화면 각 세로 66cm × 가로 44cm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감색(紺色) 종이에 금니(金泥)로 필사한 고려 사경(寫經)으로, 지난해 10월 소장자가 국외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후 국가유산청의 행정지원과 국외재단의 면밀한 조사, 협상을 거쳐 올해 4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금니(金泥): 금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안료

  * 사경(寫經): 불교 경전을 유포하거나 공덕을 쌓기 위하여 경전을 베끼는 일 또는 베낀 경전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종의 근본 경전으로, 부처와 중생이 하나라는 것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원래 고대 인도의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되었으며, 한역본(漢譯本)으로는 진본(晉本), 주본(周本), 정원본(貞元本) 등이 있다. 이번에 환수한 유물은 주본(周本) 80권 중 제22권을 옮겨 적은 것으로, 화엄경의 주존불(主尊佛)인 비로자나불(毘盧遮羅佛)이 도솔천궁(兜率天宮)으로 올라가는 과정을 기록하였다.

  * 진본(晉本): 동진(東晉) 시대에 불타발타라(佛駄跋陀羅, 359~429)가 한역한 60권본

  * 주본(周本): 중국 당나라때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가 한역한 80권본

  * 정원본(貞元本): 중국 당나라때 반야(般若)가 한역한 40권본

  * 비로자나불(毘盧遮羅佛): ‘화엄경(華嚴經)’의 주불(主佛)로서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형상화한 광명(光明)의 부처

  * 도솔천궁(兜率天宮): 욕계(欲界)에 속한 여섯 하늘 중 넷째 하늘에 있는 궁전


  ▲ 표지에는 금·은니로 그려진 5송이의 연꽃이 배치되었고, 넝쿨무늬가 연꽃 송이를 감싸고 있다. ▲ 발원문에는 원통 2년(1334년) 정독만달아(鄭禿滿達兒)가 부모님과 황제 등의 은혜에 감사하며 화엄경 81권 등을 사성(寫成)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코리아나화장박물관 소장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권15>(보물)의 발원문과 내용이 일치하여 동질의 화엄경임을 알 수 있다. 

▲ 변상도(變相圖)는 5개의 화면(畫面)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오른쪽 상단에는 비로자나불(毘盧遮羅佛)을 중심으로 양옆에 여러 보살들을 배치하고, 금강당보살이 회주(會主)가 되어 도솔천궁에서 5번째 설법을 하는 장면이다. 나머지 4개의 화면에는 비로자나불(毘盧遮羅佛)이 보리수 아래,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등을 넘나들며 설법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변상도의 정치하고 능숙한 선묘에서 전문 사경승의 높은 수준의 솜씨를 엿볼 수 있다.

  * 정독만달아(鄭禿滿達兒)(1290~?):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로 가서 관직에 오른 환관

  * 사성(寫成): 사경 작업의 완성

  * 변상도(變相圖): 경전의 내용이나 그 교의를 알기 쉽게 상징적으로 표현한 그림

  * 회주(會主): 모임을 이끌어 가는 사람

  * 도리천(忉利天): 욕계(欲界)에 속한 여섯 하늘 중 둘째 하늘 

  * 야마천(夜摩天): 욕계(欲界)에 속한 여섯 하늘 중 셋째 하늘

  * 정치(精緻): 정교하고 치밀함.

  * 선묘(線描): 선으로 묘사함.


  한편, 이번에 돌아온 <시왕도>는 국외재단이 2023년 8월 일본 경매 출품 정보를 입수한 후, 국가유산청과의 협력을 통해 낙찰에 성공하여 지난해 11월 국내로 환수하였다.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시왕도>로 일찍부터 학계의 주목을 받은 작품이며, 현전하는 조선 전기 완질 시왕도 2점 중 하나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일본인 수집가 이리에 다케오(入江毅夫)의 『유현재선한국고서화도록(幽玄齋選韓國古書畵圖錄)』에서 해당 유물이 소개된 바 있다. 각 폭의 화기에는 제작 시기는 없으나, 시주자들의 이름이 적혀 있어 민간 발원으로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 이리에 다케오(入江毅夫): 일본인 화상이자 수장가로, 일본 교토에서 ‘이조당(李朝堂)’이라는 고미술점을 운영하였으며, 1996년 본인의 소장품 740여 점을 수록한 『유현재선한국고서화도록』을 발간함.


  ‘시왕’은 중후한 체구에 근엄한 표정이 섬세하게 표현되었으며, ‘옥졸’은 근육질의 우락부락한 신체에 힘껏 체벌을 가하는 형상이 실감나게 묘사되어 있다. 시왕 등 등장인물의 의복과 배경에 그려진 운문, 소국화문, 당초문 등은 고려 불화에서 자주 사용된 문양을 따르고 있다. [붙임 사진 17 참고]

  * 시왕(十王): 사후세계에서 인간들의 죄의 경중을 가리는 열 명의 심판관으로, 진광왕(秦廣王), 초강왕(初江王), 송제왕(宋帝王), 오관왕(五官王), 염라왕(閻羅王), 변성왕(變成王), 태산왕(泰山王), 평등왕(平等王), 도시왕(都市王), 오도전륜왕(五道轉輪王)을 말함.


  <시왕도>는 저승에서 망자가 생전에 지은 죄를 심판하는 열 명의 시왕을 그린 그림이다. 이번 환수본은 총 10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폭당 1명의 시왕과 지옥 장면이 그려져 있다. 각 폭 상단에는 시왕들의 재판 주관 장면을 크게 부각시킨 한편, 하단에는 옥졸에게 체벌당하는 망자들의 처참한 광경을 비교적 작게 묘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옥 장면이 고려후기 <시왕도>의 도상과 유사하나, 제5염라왕도와 제6변성왕도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도상과 다른 독특함을 보여준다.


  제5염라왕도는 시왕 중 대표적인 지옥왕인 염라왕이 주관하는 지옥을 묘사한 장면이다. 이번 환수본에는 염라왕이 쓴 면류관(冕旒冠)에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일월문이나 금강경책이 그려진 기존 염라왕도 도상과는 구별되는 점이다. 북두칠성은 민간신앙에서 수명을 관장하는 별로, 염라왕이 중생의 죽음을 관장했던 시왕임을 의미하며 염라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붙임 사진 18 참고]

  * 염라왕(閻羅王): 시왕 중 다섯 번째 왕으로 망자가 생전에 행한 행적들이 모두 비치는 업경이라는 거울을 갖고 죄를 심판

  * 면류관(冕旒冠): 직사각형의 판에 많은 구슬을 꿰어 늘어뜨린 관

  * 금강경(金剛經): 부처가 깨달은 지혜의 삶에 대하여 설법한 내용을 담은 경전


  제6변성왕도는 확탕지옥(鑊湯地獄)의 끓는 물이 극락세계의 연지(蓮池)로 바뀌고 그 속에서 화생(化生)한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연화화생(蓮華化生)’이 지옥 장면에 등장한 것은 이번 환수 유물을 통해 처음 발견된 사례이다. 지옥에서도 죗값을 치르고 뉘우치면 연지(蓮池), 즉 ‘극락(極樂)’에 태어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붙임 사진 19 참고]


  * 확탕지옥(鑊湯地獄): 쇳물이 끓는 솥에 삶기는 고통을 받는 지옥

  * 연화화생(蓮華化生): 연꽃이 만물을 화생, 다시 탄생시킨다는 불교적 생성관


  이번에 공개하는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와 <시왕도>는 수백 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광복 80주년을 한 달여 앞둔 시점에 일본에서 돌아온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공개하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 특히 이번에 공개하는 고려사경과 시왕도는 고려와 조선 전기 불교미술의 뛰어남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앞으로 많은 국민들이 보실 수 있도록 하여 그 가치를 나눌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재단은 앞으로도 현지 협력망을 강화하여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되찾기 위한 국외유산의 발굴, 환수와 보존,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문화유산 환수는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26

31

31

27

24

31

31

29

29

29

30

28
07-08 19:27 (화)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